반지하 바닥 물 고임 해결을 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원인을 제대로 파악해야 합니다. 이유는 원인을 찾지 못한상태에서 수리를 하다보면 과잉수리로 비용이 중복으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반지하 바닥 물 해결 비용 실제 후기
크게 두 가지가 원인입니다.
첫 번째, 바닥 배관이 터졌을 때 입니다.
보통 지은지 20~30년된 집들이 이런경우에 해당합니다.
지상층 같은 경우에는 바닥 배관이 노후화로 인해 터지면 해당 물이 아래로 흘러 바닥에 고이지는 않습니다. 아랫집 천장으로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반지하 같은 경우에는 아랫층이 없기 때문에 바닥에 고이게 됩니다. 이럴경우에는 누수된 배관을 찾아 해당 부분만 교체를 하면 해결이 됩니다.
인근 누수설비 업체에 의뢰하면 당일 날 바로 고쳐줍니다. 비용은 업체마다 다르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30~40만원 지불했습니다.
- 전문 탐지 설비로 누수부분을 찾습니다.
- 누수되는 해당 부분의 방바닥을 깝니다.
- 누수배관 찾아 해당 배관만 부분 교체 합니다.
- 깐 방바닥을 다시 몰탈작업으로 평평하게 시멘트를 바릅니다.
두 번째, 반지하 바닥 물 수위가 낮을 때입니다.
상당수 반지하들이 이 경우에 해당됩니다. 대게 바닥에 물이 고였다 싶으면 이 문제입니다.
- 예외적으로, 고지대 반지하는 지상1층 같은 높이 이기 때문에 바닥 물 수위가 높아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지하는 지상층보다 사람 가슴높이만큼 아래 위치해 있기 때문에 자연스레 반지하 바닥 물수위가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바닥 물수위가 낮으면 지상층에 있는 물들이 반지하로 스며들기가 쉬운 조건이 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 하는 반지하들은 비가 안올 때는 물이 안 고이지만 비나 눈이 올때는 고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장 확실하게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집내부에 집수정을 설치 하는 것입니다.
- 집수정이란 물을 한군데로 모은다는 말입니다.
아래 집수정에 대해 간략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안방 거실 베란다중에서 가장 수위가 낮은 부분을 선정해서 집수정 구멍을 팝니다.
- 가로*세로*깊이 50*50*50(cm)의 구멍을 팝니다. 여기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것이죠.
- 물이 일정한 수준까지 모이게 되면 수위레벨센서가 작동합니다.
- 이 센서신호를 받고 집수정 내부 수중펌프가 작동합니다.
- 외부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해당 물이 밖으로 배출됩니다.
설치방법과 비용
본인이 거주 하고 있는 주변 지역과 집수정 키워드로 검색하면 전문 설치업체들이 있습니다.
해당 업체 선별은 여러 군데 견적을 받고 설치후기, 향후 A/S 기간과 범위등을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대략 100만원 정도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지역마다 업체마다 다르니 감안하고 비용을 산정하시기 바랍니다.
집수정 관리
집수정작동은 센서와 수중펌프로 작동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전기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1년 내내 전기를 투입해놓는게 좋습니다. 전기세가 부담이 된다면 비가 오거나 눈이 올때만 선별적으로 전기를 투입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그외 주의할점
반지하 물고임이나 습기 잡는 여러 시공들이 있습니다.
바닥 물이 안 올라 오게하는 바닥 시공, 바닥 타일시공등 이런 시공의 문제는 원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물이 계속 고이는데 해당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위 시공들을 하면 일시적으로는 효과가 있을 지언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또 다시 원인 해결을 위해 추가 보수를 해야하는데 이런 과정에서 중복 수리, 과잉 수리가 발생 하게 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앞서 적은 것처럼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말한 것입니다.
그리고 집수정 시공으로 물이 더이상 고이지 않아도 일부 집수정으로 흘러가지 않은 물이 조금씩 군데 군데 모여 있을 것입니다.
이런 부분은 집 내부 환기나 제습기 사용으로 해결 할 수가 있습니다.
- 집수정으로 바닥 물고임 문제를 대부분 80~90% 잡습니다.
- 나머지 10~20%는 제습기, 내부환기로 잡는 것이죠.
저의 경우에는 대용량 제습기를 구매했는데. 링크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제습기보다는 펌프내장되어 있는 대용량 업소제습기가 좋습니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관만 연결해놓는다고 하면 자동으로 물이 차면 외부로 빠지기 때문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