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물 소화 뜻은 특정 가격대의 물량을 먹어가면서 주가가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과정을 매물 소화 과정을 거쳤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유는 이런 과정을 거쳐야 상승에 대한 매물압박이 덜해져 추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기때문입니다.
매물 소화 뜻 과정 특징
추가 상승을 위한 매물 소화 과정을 아래 차트 보며 설명해보겠습니다.
- 아래는 비에이치아이 1분봉 차트입니다.
- 폴란드 원전 프로젝트 참여 기대감으로 강세를 보인 종목입니다.
1번 구간에서 오후 늦게 상한가에 안착했습니다. 그래서 상한가 근방에 거래량이 많이 발생했고 이 지점에서 판 사람도 있지만 매수한 사람도 있겠죠.
- 해당 주가가 상한가 종가로 마감해서 양봉이지만, 오후장에 밀리면서 종가 마감하면 윗꼬리 양봉 마감입니다.
- 윗꼬리 매물 소화도 동일합니다.
이렇게 매물대가 형성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 매물대 구간에서는 물린사람들이 많아 해당 가격까지 온다고 하면 본전심리로 팔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게 매물대 부담으로 작용 하는 것이죠.
- 이런 매물대를 넘어서 추가 강세를 보이려면 해당 매물대를 소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매물대 소화 없이 바로 강세를 보이려면 추가 호재가 있어야겠죠.
- 강력한 호재가 있다면 해당 매물대에서 물린 사람도 본전심리에 팔기 보다는 좀 더 기다려서 추가 이익을 보려는 심리가 강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2번 구간을 넘어옵니다.
본격 매물 소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1번 구간보다 주가가 하락하여 지지 부진한 흐름을 보입니다. 횡보 한다고 말합니다.
이때 1번 구간에서 물린 사람들은 기다리다 지쳐 팔거나 조금만 올라와서 본전심리로 팔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런 물량들을 먹어가며 지지라인을 구축합니다. 이런 조정 구간을 시간을 좀 더 길게 하거나 추가하락을 한다고 하면 그 만큼 물린사람들은 못 버티고 손절합니다.
그러면 해당 가격대 매물대가 좀 더 약해지는 것이죠.
2번 구간을 넘어 이제 본격 상승 국면에 진입을 합니다.
이제는 매물대가 약해졌기 때문에 작은 거래량으로도 추가상승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결과를 보고 설명하면 딱딱 들어 맞는 것 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위의 흐름처럼 안가는 주가도 많으니 단순 참조만 하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해당 종목이 갖고있는 재료와 모멘텀입니다. 이런 것들이 갖춰지고 나서 매물소화가 이뤄지면 좀 더 강한 상승세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죠.
같이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