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림목 매매는 주가가 어느정도 오르다가 조정을 보이는 구간(눌림이 발생하는 구간)에서 주식을 사서 수익을 내는 단타 매매 방법입니다. 다만, 수익을 내려면 눌림목을 거쳤다가 재차 주가가 상승을 해야 합니다.
눌림목 매매 뜻 단타 방법
눌림목 뜻은 말 그대로 눌림이 발생한 구간을 말합니다.
주가가 오르다가 일시적으로 잠시나마 쉬어 가는 구간이 있습니다.
- 아래는 흑해곡물협정 연장 불발 우려로 곡물 섹터가 강세를 보이는데
- 곡물관련주 중에서 오늘 대장주 역할을 했던 누보 주가 2분봉 차트입니다.
- 두 번의 눌림목 구간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구간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모습이 특징입니다.
위 차트에서는 성공적으로 눌림목이 발생했습니다.
해당 종목을 눌림목 구간에서 매수를 해서 오를 때 팔고 다시 저점 눌림목에서 매매 했다면 꽤나 많은 단타 수익을 냈을 것입니다.
하지만, 눌림목 판단은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가있습니다.
만약 종목이 눌림목 구간을 지나서 하락을 했다면 해당 구간은 눌림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눌림목 매매 확률을 높이려면 반드시 해당 종목의 상방 가능성이 높아야 합니다.
그래야 눌림에 사서 주가가 오를 때 팔고 수익으로 나올 수 있기때문입니다.
어떤 종목이 상방 가능성이 높은지는 해당 종목이 갖고 있는 재료와 모멘텀, 시장분위기등을 분석하면 대략적으로 알 수가 있습니다.
방법은 매일 주식시장에서 어떤 종목이 어떤 재료를 갖고 움직이는지 관찰하는 것입니다.
꾸준히 하다보면 재료의 강도에 따라 상승률을 대충 짐작해볼 수가 있습니다.
- 이 재료는 상한가 한 번찍고 내려오겠다
- 저 재료는 상한가 한 방도 가고 다음달 갭도 시원하게 뜨겠다 등
절대 단기간에 될수는 없으며, 꾸준한 경험만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래글을 참조하면 좀 더 이해가 쉽습니다.